성남시 청년 지원 2025 총정리 (신청링크·자격·혜택·꿀팁)
성남시에 거주·재학·재직하거나 창업/취업을 준비 중인 청년이라면 꼭 확인하세요. 응시/수강료 실비 지원부터 복지포인트, 주거비(전·월세·이사비)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바로 신청
한눈에 보는 요약
| 사업명 | 주요혜택 | 누가 신청? | 접수/일정 |
|---|---|---|---|
| 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 | 근로 청년에게 복지포인트(연 240만원 한도 내 반기 지급, 총 2년 480만원 가능) | 경기도 내 중소·중견·소상공인·비영리 등 재직 청년(만19~39) | 연 2회 모집(6·8월). 온라인 접수(잡아바) |
| 성남시 미취업 청년 지원(ALL-Pass) | 자격증 응시료·수강료 실비 지원(1인 최대 100만원) | 성남시 거주 19~34세 미취업 청년(1년 이상 거주) | 연중 상시(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). 온라인 접수(잡아바) |
| 취업청년 전·월세·이사비 지원 | 전·월세/이사비 일부 지원(구 ‘주거안심 패키지’) | 성남시 취업 청년(세부 요건 공고문 확인) | 연중/수시 공고. 공고문 및 FAQ 확인 후 신청 |
| 청년기업 정착자금(임차료) | 사업장 임차료 월 30만원×최대 10개월(총 300만원) | 성남시 창업 5년 미만 청년기업(대표 19~39세) | 연초 공고(2월 등)·온라인 접수(잡아바 어플라이) |
1) 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
경기도 내 중소·중견기업, 소상공인 업체, 비영리 법인 등에서 근로 중인 청년에게 복지포인트를 지급하는 대표 복지사업입니다. 통상 상·하반기 2회 모집(6·8월)이며, 온라인으로만 접수합니다.
- 혜택: 반기별 심사 후 지역화폐·포인트 형태 지급(연 240만원, 2년간 최대 480만원)
- 신청 링크: 안내/신청 · 모집 공고 확인
- 팁: 재직요건·근로계약·4대보험 등 증빙을 미리 준비하세요.
2) 성남시 미취업 청년 지원(ALL-Pass)
성남시 거주 미취업 청년의 자격증 응시·수강 비용을 실비로 지원합니다. 한국사·어학·국가공인자격 등 폭넓게 인정되며,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빠르게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- 대상: 신청일 기준 1년 이상 성남시 거주, 만 19~34세 미취업 청년
- 지원: 1인 최대 100만원(응시료·수강료 실비)
- 접수: 잡아바 어플라이 (연중 상시)
3) 취업청년 전·월세·이사비 지원(구 ‘주거안심 패키지’)
성남시 취업 청년의 주거비 부담을 낮추는 사업으로 전·월세, 이사비를 일부 지원합니다. 연중 또는 분기별로 공고되며, FAQ를 통해 서류·요건을 꼼꼼히 확인하세요.
- 공고·FAQ: 성남일자리센터 공고
- 필수: 주민등록·재직(또는 합격) 증빙, 임대차계약서, 통장사본 등
4) 청년기업 정착자금(임차료)
성남시 내 창업 5년 미만 청년기업을 대상으로 사업장 임차료를 최대 10개월 지원(월 30만원, 총 300만원)합니다. 모집은 연초 공고가 많으니 상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.
- 대상: 대표자 성남시 거주 19~39세 청년
- 지원: 임차료 최대 300만원(월 30만원×10개월)
- 참고: 공고 예시(기업마당)
신청 전 체크리스트
- 거주/연령/재직(또는 미취업) 요건 먼저 확인하기
- 필수 증빙서류 스캔본 미리 준비(주민등록초본, 4대보험 자격득실, 재직·근로계약서, 임대차계약서 등)
- 예산 소진형 사업은 상시 모니터링(알림 설정 추천)
- 잡아바 어플라이 계정 만들고, 마감 24시간 전엔 제출 완료하기
문의처
- 경기도일자리재단 청년노동자 지원사업 콜센터: 1577-0014
- 성남시청 청년청소년과(청년지원/일자리) 대표: 031-729-8503 / 8762
※ 본 글은 성남시·경기도 공식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, 지침 변경 시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반드시 공고문 원문을 확인하세요.

